본문 바로가기

people

정수장학회


박근혜 대통령과 최태민-최순실 일가의 정치적, 물적 근거지 역할을 한 정수장학회는 5.16 군사쿠데타 직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설립한 장학 단체다.


정수장학회의 전신은 부일장학회다. 부일장학회는 부산지역 갑부인 김지태의 재산으로 만들어진 장학회였다. 


김지태는 5.16 쿠데타 이듬해인 1962년 3월 재산해외도피 혐의 등으로 당시 중앙정보부에 체포돼 두 달 정도 구금생활을 하다 부일장학회와 부산일보, 한국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등의 운영권 포기각서를 쓴 며칠 뒤 공소취하로 풀려났다. 


김지태가 부일장학회 등을 헌납한 지 닷새만에 5.16 장학회가 설립된다. 5.16 장학회의 설립기반이 된 재산은 대부분 부일장학회에서 승계한 것이었다.


5.16장학회는 1982년 1월 14일 정수장학회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정수장학회라는 명칭은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박정희의 ‘정’과 그의 부인 육영수의 ‘수’를 따서 직접 작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부일장학회의 소유권이 이전되는 과정의 불법성 여부는 지금도 논란이 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부일장학회의 재산 포기는 헌납이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1995년부터 2005년까지 10년간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 재직한 적이 있다.


하지만 김지태의 큰아들 김영구 전 조선견직 회장은 "그해 5월 25일 부산 군수기지사령부 법무관실에서 아버지가 수갑을 찬 상태로 운영권 포기각서에 서명하고 도장을 찍었다"며 "내가 장남이라 인감 도장을 가지고 가, 현장을 똑똑히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정수장학회의 자산은 막대한 규모다.  지난 2005년 언론노조 '정수장학회 공동대책위'는 정수장학회의 재산이 MBC 문화방송 주식, 부산일보 주식, 영남대, 서울 정동 경향신문사 사옥 부지 등 최소 1조원에서 최대 10조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정수장학회의 이사직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측근이나 친인척들을 중심으로 구성돼 왔다.


박근혜 대통령이 5~8대 이사장을 지낸 것을 비롯해 이후락 중앙정보부장, 박준규 부산일보 사장, 진혜숙 청와대 총무비서 등 박정희 대통령의 측근들이 이사를 지냈다.


정수장학회는 지속적인 장학 활동을 통해 광범위한 엘리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1962년 5.16 장학회 이후 정수장학회의 장학금을 받은 대학생은 총 3만8000여 명에 이른다.


정수장학회 장학생들은 대학에 다닐 때는 ‘청오회’, 졸업 뒤에는‘상청회’라는 모임에 가입된다.


1966년 만들어진 상청회는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이 초대 회장을 지냈다.


정수장학회 출신 정계 인물로는 김기춘, 현경대, 김기도, 강성구, 김재경, 손봉숙, 채수찬, 홍창선, 오제세, 박선영 전 의원 등이 있다. 


법조계에서는 신승남 전 검찰총장, 주선회 전 헌법재판관, 허만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와 성영훈 전 대검찰청 공판송무부장 등이 정수장학회 장학생 출신이다. 


상청회 회원 중 약 400명이 현재 전국 각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