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썸네일형 리스트형 라임펀드 판매, 환매연기 현황 라임펀드 현황 및 투자구조 □ (전체 펀드) ’19년말 기준 라임의 전체 수탁고는 약 4.5조원으로 이중 대체투자자산* 3.9조원, 채권 등 여타 부문 0.6조원으로 구성 * 비상장주식, 비상장 주식관련사채권(CB, BW등), 사모사채 등 □ (환매연기 펀드) ’19년말 기준 라임이 운용하는 4개 母펀드 및 그와 母․子 관계*에 있는 173개 子펀드에서 환매 연기가 발생 * 母-子형 펀드구조는 다수 子펀드가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母펀드에 집중하고, 母펀드가 실제로 투자대상자산을 취득·운용하는 형태 ◦ (母펀드) 4개 母펀드는 주로 대체투자자산에 투자하는 펀드로 4개 펀드의 전체 수탁고는 약 1.72조원 수준 - (국내투자 母펀드) ①플루토 FI D-1호(0.94조원)와 ②테티스 2호(0.3조원)는 주.. 더보기 분조위, 디스커버리 펀드 투자손실 배상 결정-보도자료 2021.5.24.(월) 금융분쟁조정위원회(이하 ‘분조위’)는 기업은행이 판매한 디스커버리 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이하 ‘글로벌채권펀드’) 및 US핀테크부동산담보부채권펀드(이하 ‘부동산담보부채권펀드’)에 대해 사후정산방식*에 의한 손해배상을 결정하였습니다. * 환매연기 사태로 손해가 확정되지 않은 사모펀드에 대해서 판매사가 동의하는 경우 사후정산 방식으로 신속하게 분쟁조정을 추진 분조위는 기업은행의 디스커버리 펀드 불완전판매 등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에 대해 50%(글로벌채권펀드) 및 45%(부동산담보부채권펀드)의 기본배상비율을 적용하여 투자자별(2명) 배상비율을 각각 64% 및 60%로 결정하였습니다. 나머지 투자피해자에 대해서도 금번 분조위의 배상기준에 따라 40~80%*의 배상비율로 조속히 자율조정이 .. 더보기 주간증시일정 9.4~8. 미 국채금리 ▲9.4.월(이하 한국시간) 22:30 EA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 총재 연설 뉴욕증시 휴장(노동절) ▲9.5.화 06:00 한국 8월 외환보유고 08:00 한국 8월 CPI, 2Q GDP 확정치 13:30 호주 RBA 기준금리 결정(현 4.1%) 23:00 미국 7월 공장주문 미국 8월 자동차판매 ▲9.6.수 18:00 EA 7월 소매판매 21:30 미국 7월 수출입 23:00 미국 8월 ISM 서비스업PMI ▲9.7.목 03:00 미국 연준 베이지북 12:00 중국 8월 수출입 21:30 미국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9.8.금 08:00 한국 7월 경상수지 08:50 일본 2Q GDP 확정치 ▲9.9.토 10:30 중국 8월 CPI-PPI 더보기 주간증시캘린더 6.12~16 미 FOMC ▲6.12.월(이하 한국시간) 09:00 한국 1~10일 수출입 ▲6.13.화 21:30 미국 5월 CPI ▲6.14.수 06:00 5월 수출입물가 21:30 미국 5월 PPI ▲6.15.목 03:00 미국 FOMC 기준금리 결정(현 5.25%) 03:30 미국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기자회견 08:50 일본 5월 무역수지 11:00 중국 5월 산업생산-소매판매-고정자산투자-실업률 21:15 EA ECB 기준금리 결정(현 3.75%) 21:30 미국 5월 소매판매,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6.16.금 12:00 일본 일본은행 기준금리 결정(현 -0.1%) 04:00 미국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총재 연설 21:00 미국 6월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더보기 삼성증권 유령 주식 삼성증권의 '유령 주식' 배당 사건이 일파만파다. 증권사의 관리부실 문제를 넘어 국내 주식거래 시스템 자체에 대한 신뢰성 문제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당장 1순위 피해자는 갑작스런 주가 급등락으로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지만, 이런 경우 피해보상 방법도 명확하지 않다. 사고발생 이후 청와대 청원게시판에는 관련 청원글이 줄을 잇고 있다. "삼성증권 유령주식 유통사건으로 개미투자자들이 알지 못했던 금융시장의 구조적이며 비열한 상황이 드러났다"고 규탄하는 취지가 대다수다. "금융당국의 조사가 아니라 검찰이나 특별검사 임명을 통한 수사가 필요한 사안"이라는 주장도 많다. 금융당국은 사건 발생 사흘만인 8일 오후에야 현안점검회의를 열었다. 회의 주재는 최종국 금융위원장이 아니라 김용범 부위원장이 했다. 정부서울청사 금.. 더보기 법인 대표자 연대보증 폐지 4월 2일부터 중소기업이 공공기관으로부터 대출·보증을 받을 경우 법인 대표자의 연대보증이 폐지된다. 해당되는 신용보증기금(신보), 기술보증기금(기보), 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지역신용보증재단(지신보)이다. 11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4월부터 중소기업의 공공기관 대출·보증(신규·증액분)에 대해 법인 대표자의 연대보증 요구가 폐지되고, 기존 대출·보증에 대해서도 책임경영심사를 거쳐 단계적으로 연대보증이 폐지된다. 기업경영과 관계없는 가족, 동료 등에게 요구되던 제3자 연대보증은 2012년부터 폐지됐지만, 법인 대표자 1인에 대한 연대보증은 책임경영 확보 차원에서 유지돼왔다. 중기부는 "연대보증제도는 두려움 없이 창업을 하고 실패를 자산으로 재도전할 수 있는 창업 분위기 조성에 큰 장애요인이 되어왔다".. 더보기 박상기 법무부장관 "가상화폐거래소 폐쇄 목표" 박상기 법무부장관 "가상화폐는 도박...거래소 폐쇄 목표 입법 추진"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11일 가상화폐를 도박이라고 규정하고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까지 목표로 하는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입법을 통해 이같은 방안을 관철할 방침이며 그 중간단계에도 여러 가상화폐 규제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가상거래소를 통한 거래 금지 법안을 준비 중에 있다”며 “거래소 폐지까지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상화폐라고 부르는 것도 법무부는 정확하지 않은 표현이라 생각한다"며 "화폐가 아니기 때문에 가상증표로 부르는 게 정확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지금 가상화폐 거래가 투기와 비슷한 양상으로 이뤄지고 있으.. 더보기 현대차 실리콘밸리 현대크래들 현대차그룹이 미래 혁신 기술 및 스타트업 메카인 실리콘밸리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출범한다. 현대차그룹은 15일 실리콘밸리 기존 사무소인 ‘현대벤처스’의 위상과 기능을 확대 개편한 '현대 크래들(HYUNDAI CRADLE)'을 연다고 밝혔다. '현대 크래들'은 AI(인공지능), 모빌리티,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로봇 등 미래 핵심분야의 혁신을 리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로봇 영역과 미래 모빌리티 융합 시너지에 주목하고 신 비즈니스 창출도 모색한다.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발굴, 투자, 공동개발은 물론 국내 유망 스타트업의 실리콘밸리 현지 진출도 지원한다. '현대 크래들'은 실리콘밸리의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의 역할에 국한되지 않고, 현대차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네트워크의 허브..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